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테스트굿
- 빅스페이서
- book
- 분양
- 조기유학
- O2O플랫폼
- 책
- 유학플랫폼
- 이펍
- ePub3
- E-Book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OrangeDigit
- 미국출판
- 에디터
- epub2
- 빅트리퍼
- 오렌지디지트
- 이펍3
- 미국유학
- 빅데이터
- testgut
- 전자책출판
- epub2.0
- epub3.0
- EPUB
- 전자책
- 이북
- 전자책제작
- 뷰포터
- Today
- Total
오렌지디지트 | BIGSpacer® 데이터분석랩
[E-Book, ePub, 전자책] 텅 빈 요람 본문
우리나라의 현재 출산율은 2010년 기준 1.22명으로, 저출산 국가에 해당합니다. 저출산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남반구와 북반구, 잘사는 나라와 못사는 나라, 종교의 여부에 관계없이 출산율 저하 현상은 전세계적입니다. 우리나라가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출산율인 2.0명의 선을 넘어선 것은 1983년으로, 저출산의 영향력은 이제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저자 필립 롱맨은 이런 전세계적인 출산율 저하 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역사학, 인구 통계학, 경제학, 생물학, 여성학, 역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를 이용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인구와 경제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원전부터 1750년까지 세계 인구의 성장률은 연간 0.064퍼센트로 추정되는데, 이런 낮은 인구 성장률은 생활 수준의 미미한 향상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영아 사망률의 하락, 공중보건의 등장, 청결한 물의 공급과 하수 체계 등으로 인해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산업혁명으로 시작되는 경제성장체제에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인구 성장은 경제 성장의 주된 동력인 것입니다.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진 인구의 증가는 현대의 풍요로운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20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 이어진 눈부신 경제성장은 출산율 저하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어린아이들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좀 더 많은 자원을 투자와 어른들의 소비로 돌릴 수 있었고, 육아에 사용되었을 여성 노동력을 해방시켰습니다. 문제는 저출산으로 인한 경제성장은 결국 나중에 갚아야 할 부채라는 것입니다.
'소셜E북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ook, ePub, 전자책] 남자의 종말 (0) | 2014.01.13 |
---|---|
[E-Book, ePub, 전자책] 우리는 디씨 (0) | 2014.01.13 |
[E-Book, ePub, 전자책] 그들이 본 임진왜란 (0) | 2014.01.13 |
[E-Book, ePub, 전자책] 에로틱한 가슴 (0) | 2014.01.13 |
[E-Book, ePub, 전자책] Stick 스틱! (0) | 2014.01.10 |